순풍 타고 3000m 상공에서 태평양 종단 비행 8일…먹지도, 마시지도, 자지도 않아
체중 절반 지방 태워 물과 에너지로, 쓰지 않는 창자 등 장기 줄여
» 태평양을 크게 한바퀴 도는 붉은 선이 큰뒷부리도요가 해마다 반복하는 여정이다. 사진=미국지질조사국(USGS)
새만금 갯벌이 망가진 뒤 우리나라 최대의 도요·물떼새 도래지가 된 금강 하구 유부도에 “뿅~뿅~뿅~” 하는 청다리도요의 맑은 울음소리가 퍼져나갔다.
갯벌에는 밀물에 쫓기면서 도요새들이 바삐 먹이를 찾고 있었다. 몸이 작은 좀도요, 민물도요, 물떼새는 종종걸음을 치며 작은 갯가생물을 잡았고 긴 부리를 지닌 도요들은 느긋하게 갯벌 속에 숨어 있는 갯지렁이와 게를 노렸다.
갑자기 도요새들이 연기처럼 피어오르더니 휙 각도를 바꿔 갯벌로 스며들었다. 맹금류인 새홀리기 한 마리가 갯벌의 평화를 깼다.
» 지난 15일 금강 하구 유부도 갯벌에서 도요새들이 구름처럼 날아오르고 있다. 사진=조홍섭 기자
“도요새를 날리지 마세요.”
지난 15일 도요새 탐사에 나선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의 오동필 물새팀장이 참가자들에게 당부했다. 도요새들이 이곳에서 충분히 먹이를 먹어 지방을 얼마나 비축하느냐가 삶과 죽음을 가르기 때문이다.
알록달록한 깃털이 두드러지는 붉은어깨도요는 대표적인 피해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5400㎞를 날아 황해에 도착해 ‘급유’를 한 뒤 다시 시베리아 북부 툰드라로 날아가 번식하는 이 도요새는 중간 기착지인 ‘새만금 주유소’가 문을 닫는 바람에 전세계 개체수의 20%가 줄었다. 오씨는 “새만금에서 4만~5만마리까지 큰 무리의 붉은어깨도요를 볼 수 있었는데 요즘엔 1000~2000마리가 고작”이라고 말했다.
» 서해 갯벌에 중간 기착한 붉은어깨도요. 호주와 북극의 오가는 장거리 여행자이다. 사진=오동필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물새팀장
이런 장거리 이동 도요새가 수천㎞를 비행한 끝에 내려앉을 때는 어떤 모습일까. 오씨의 설명을 들어보자.
흑꼬리도요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논스톱으로 날아오는데 내려앉기 전 ‘뾰~뾰~뾰~’ 하는 소리를 집단으로 내면서 선회합니다. 긴 여정이 끝나고 이제 다 왔다는 신호겠지요. 그러곤 너무 힘들다는 듯 죽은 듯이 앉아서 쉽니다. 깊은 잠에 빠진 것 같죠. 하지만 무척 허기진 듯 먹이가 눈에 띄면 우선 먹습니다.”
흑꼬리도요의 친척인 큰뒷부리도요는 진정한 장거리 여행자이다. 자신의 신체 구조까지 바꿔 가며 장거리 비행에 극단적으로 적응했다.
» 수면 위를 나는 큰뒷부리도요. 장거리 비행 때는 2000~3000m 상공에서 무리지어 난다. 사진=아른슈타인 뢰닝, 위키미디어 코먼스
몸 길이 41㎝에 70~80㎝ 길이의 날개를 지닌 비교적 큰 도요인 큰뒷부리도요는 약 1000년 전 마오리족의 조상이 뉴질랜드를 발견하도록 만든 새로 유명하다. 일단의 폴리네시아인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남쪽으로 날아가는 ‘쿠아가’ 무리를 따라가면 틀림없이 육지가 나온다고 믿었다.
그 믿음에는 합리적 근거가 있었는데, 쿠아가는 물갈퀴도 없고 물에 빠지면 익사하는 육지 새였기 때문이다. 마오리족이 길잡이로 삼았던 큰뒷부리도요는 지금 이 시각 태평양을 세로로 건너질러 알래스카에서 뉴질랜드로 비행하고 있다. 1만㎞가 넘는 이 망망대해를 8~9일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 잠 한숨 자지 않고, 물 한 방울 마시지 않고 쉬지 않고 날갯짓을 한다.
» 우리나라 서해 갯벌에서 먹이를 찾는 큰뒷부리도요. 사진=오동필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물새팀장
조류 연구자들은 일찍부터 이 새의 대양 횡단을 짐작하고 있었다. 8월 말부터 알래스카에서 이 새가 사라진 뒤 뉴질랜드에서 갑자기 나타나기 때문이다. 다리에 식별표지를 붙인 큰뒷부리도요가 가을철 아시아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혹시 이들이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섬에서 쉬었다 가는 건 아닐까. 그러나 이동로에 위치한 하와이제도 위로 해마다 10만마리의 큰뒷부리도요가 지나가지만 지난 35년 동안 이 섬 안에서 목격된 개체는 40마리에 지나지 않는다.
이 새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결정적 증거는 2007년 나왔다. 미국 국립지질조사국 조류학자들은 피부 밑에 건전지 크기의 무선송신기를 삽입한 큰뒷부리도요 9마리를 알래스카에서 날린 뒤 인공위성으로 이들의 경로를 추적했다. 이들의 놀라운 대양 횡단 비행 궤적은 실시간으로 전세계에 알려졌다.
이때 세계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세워 유명해진 큰뒷부리도요가 ‘E7’이었다. 8월30일 해가 지기 2시간 전 이륙한 이 새는 8일 동안 1만1680㎞를 쉬지 않고 날아 9월7일 저녁 뉴질랜드 피아코강 어귀의 습지에 착륙했다. 평균 시속 60㎞의 속도로 지구의 반대편으로 비행한 것이다.
큰뒷부리도요를 주인공으로 한 자연 다큐로 다음달부터 전국 극장에서 개봉될 부산경남 민방(KNN)의 <위대한 비행>에는 2만7000㎞에 이르는 알래스카~뉴질랜드~서해~알래스카 여정을 4번 완수하고 지난해 죽은 ‘얄비’ 이야기가 나온다. 4년 동안 얄비는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 중 3분의 1을 난 셈이다.
» 세계 최장 비행 기록을 세운 큰뒷부리도요 E7의 여행 경로. 사진=미국지질조사국(USGS)
여행을 떠나기 전 이 도요는 세계에서 가장 풍요로운 알래스카 유콘강 하구에서 배를 채워 ‘공처럼’ 뚱뚱해진다. 출발 직전 레이더 기지와 충돌해 죽은 큰뒷부리도요 수컷을 조사한 결과 몸무게 367g 가운데 201g이 지방이었다.
장거리 이동 도요들은 대개 이동 직전 몸무게의 절반을 지방으로 채우고 이를 태워 얻은 에너지로 비행한다. 도착지에서 몸무게는 절반으로 줄어든다. 흥미롭게도 태평양을 횡단하는 점보 제트기도 무게의 절반을 연료로 채운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 결과 이들 도요새에게는 몸의 조직과 장기가 변하는 극단적 생리변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긴 여행을 떠나기 전 최대한 많은 지방을 몸에 채우기 위해 비행 동안 불필요한 소화기관 등의 장기는 가능한 한 축소시킨다. 앞서 출발 직전 죽은 도요새의 가슴 근육은 한쪽이 27g이나 됐지만 간은 7g, 콩팥은 한쪽이 1.5g에 지나지 않았고 위장은 텅 비어 있었다.
» 뉴질랜드 미란다 강 하구에 도착해 먹이를 먹는 큰뒷부리도요 무리. 사진=딕 보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중간 기착지에 도착하면 신체는 다시 극적으로 변화한다. 심장, 다리 근육, 콩팥, 위, 간, 창자가 다시 커진다. 하지만 출발 직전엔 다시 지방에 공간을 내주고 움츠러든다. 이런 생리변화를 보고한 네덜란드 과학자의 논문 제목은 ‘위장은 날지 않는다’였다.
큰뒷부리도요는 비행 중 필요한 수분을 지방을 분해해 충당하며, 잠은 고래 등 해양동물처럼 뇌의 절반씩 가수면 상태에 빠지는 식으로 자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대양을 횡단하는 비행이 새의 강인함과 인내로만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큰뒷부리도요는 적어도 5가지의 다른 바람을 적시에 이용해 비행 에너지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발 때는 알류산 저압대의 주기적 폭풍을 이용하는데, 순풍을 받아 1000㎞ 거리를 시속 144㎞까지 속도를 낸다.
» 2010년 새만금 갯벌에서 죽은 채 발견된 큰뒷부리도요. 중간기착지의 환경변화는 이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사진=조홍섭 기자
이정표나 지형지물이 있을 리 없는 대양에서 이들은 낮에는 태양의 편광을 보고 밤에는 별자리를 이용해 2000~5000m 상공을 난다. 이들은 대양에서는 비교적 좁은 폭 1800㎞의 통로로 이동하는 뛰어난 방향감각을 보인다.
큰뒷부리도요는 해마다 가을철 번식지인 알래스카에서 월동지인 뉴질랜드로 이동하지만, 반대로 봄철엔 태평양을 횡단하지 않고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을 들러 알래스카로 가는 우회로를 택한다.
» 봄철 알래스카 번식지로 갈 때는 황해에 중간 기착하는 다른 항로를 이용한다. 사진=미국지질조사국(USGS)
그 이유로는 남행길과 달리 북행길엔 바람을 활용할 수 없고, 중간에 두둑하게 지방을 축적하고 번식지에 도착하는 것이 유리하며, 만일 지방층이 고갈되더라도 4000㎞ 거리엔 ‘비상 착륙’할 곳이 전혀 없다는 점 등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질랜드로 가는 남행길에서 목적지 이전에 지방층이 없어지면 도요새는 마지막 1400㎞ 비행을 포기하고 뉴칼레도니아에 내려앉기도 한다.
밀물이 계속 밀려오자 도요새들은 더 높은 곳을 찾아 유부도 해안을 떠났다. 갯벌 생태체험 전문가인 여길욱 한국도요새학교 대표는 “도요새에겐 먹이 한 점이라도 절박한데 최근 이곳에 탐조객과 사진가들이 몰리면서 새들을 간섭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 유부도에 도요새 탐조에 나선 군산중앙여고 탐조동아리 원더버즈 회원인 김현주, 이수영, 이우희(왼쪽부터) 양이 필드스코프 앞에서 모였다.
군산중앙여고의 철새보호 동아리 원더버즈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현주(2년) 양은 “도요새들의 쉼터로 쓰기 위해 금강 하굿둑 부근 농지 매입 모금활동을 하고 있다”며 “많은 이들이 큰뒷부리도요처럼 신기하고 대단한 도요를 지키는데 참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군산/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마이뉴스에서 (0) | 2012.09.27 |
---|---|
[최보식이 만난 사람] 장삿속 과잉 의료를 고발하다… ‘척추 명의(名醫)’ 이춘성 교수 (0) | 2012.09.24 |
남한산성 오전리 장에서 가을빛을 보다/오마이뉴스에서가져오다 (0) | 2012.09.17 |
내면의 평화냐 세상의 정의냐/한계레신문에서 가져옴 (0) | 2012.09.14 |
재미있는 사진=구름위에서 서서 촬영? 황홀한 이 장면 찍은 곳은… (0) | 201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