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은 공자가 사람을 살피는 가장 중요한 실마리다. '
논어' 학이편에서 공자는 "일을 할 때는 민첩하게 하고 말은 신중하게 해야 한다[敏於事而愼於言]"고 말한다.
또 이인편에서는 "말은 어눌하려고 애쓰고 행동은 민첩해야 한다[欲訥於言而敏於行]"고 말한다. 일은 곧 행동이다. 둘 다 민첩함[敏]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민첩함이라고 해서 그냥 잽싸다는 뜻이 아니다. 일에 임하는 태도와 관련해 공자는 학이편에서 경사(敬事)라고 했다. 기존 번역서들은 이를 '일을 공경하라'는 식으로 번역하는데 이렇게 해서는 그 말의 본 뜻을 알 길이 없다.
오히려 '매사에 임할 때 조심하고 삼가는 태도로 임하라'고 해야 그나마 본 뜻에 가깝다.
반드시 일에 임하여서는 두려워 하고[臨事而懼] 치밀한 전략과 전술 세우기를 즐겨 하여 일을 성공으로 이끄는[好謀而成者] 사람(안회)과 함께할 것이다."
일에 임해 두려워 하는 것이 바로 경사(敬事)이고, 치밀한 전략과 전술 세우기를 즐겨 하여 일을 성공으로 이끄는 것[好謀而成者]이 바로 민첩함[敏]이다.
조심해야 할 것이 있다. 일에 임해 두려워 한다는 것은 일을 두려워 하는 것이 아니라 일이 혹시라도 실패할까봐 두려워 하여 만반의 태세를 갖춘다는 뜻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 자체의 성격을 잘 알아야 한다. 그 결정적인 실마리는 '대학'에 나온다.
"모든 일에는 근본과 곁가지가 있고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다[物有本末 事有終始].
진덕수는 '대학연의'에서 물(物)은 곧 사(事)라고 말한다. 즉 국내 번역서들이 모호하게 옮겨 놓듯이 사물이나 물건이 아니라 일[物=事], 즉 사람의 일로 보고서 인재를 보는 법[辨人才]으로 풀었다는 뜻이다. 결국 일[物=事]은 사람의 일, 즉 인사(人事)인 것이다.
다시 '대학'이다. 일에는 근본과 곁가지, 즉 중히 여겨야 할 것과 가벼이 여겨도 되는 것[重輕=輕重]이 있기 때문에 이것부터 가려야 한다.
그리고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다. 그래서 '대학'은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을 알아야 한다[知所先後]고 말한다. 이런 사람은 일을 민첩하게 처리할 수밖에 없다. 말도 신중하게 할 것이다.
그래서 민어사이신어언(敏於事而愼於言), 욕눌어언이민어행(欲訥於言而敏於行), 경사(敬事), 임사이구(臨事而懼), 호모이성자(好謀而成者), 물유본말(物有本末), 사유종시(事有終始), 지소선후(知所先後)는 사람을 살피는 핵심 개념이 된다.
'기록 > 가져온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홍섭 부장판사 (0) | 2015.03.17 |
---|---|
15년만에 문여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길' (0) | 2015.03.16 |
배우는 것이 습관화되면 표현하는 능력이 줄어든다 (0) | 2015.03.06 |
'나는 숲에 간다. 삶의 가장 본질적인 것들만을 대면해 보고 싶기 때문이다. (0) | 2015.03.01 |
故최인호 작가-법정스님 산방대담… ‘꽃잎이 떨어져도 꽃은 지지 않네 (0) | 201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