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기자의 사진이야기

 

 

'빵수녀' 수비아꼬 수도원 기행 온라인 사진전

사람이 땅을 만드는가,

땅이 사람을 만드는가?

 

이 질문을 나는 수비아꼬(Subiaco)에서 다시 떠올렸다.

 

수비아꼬는 로마에서 북동쪽으로 한 시간 정도의 거리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산들이 파도처럼 겹을 이루고, 그 한가운데로 작은 강 하나가 흐르는 아름다운 풍광은 일찍이 네로 황제의 마음을 사로잡아 그의 별장이 지어진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산언덕을 따라 자리 잡은 소박한 이 중세 마을이 사랑받는 더 큰 이유는 가톨릭 교회 수도자들의 대부이자 유럽의 수호성인으로 존경받는 베네딕도 성인 때문일 것이다. 베네딕도는 수비아꼬에 12개의 수도원을 지었고 지금도 수도원에서 퍼져 나오는 종소리가 시간을 알린다.

 

서기 480년, 이탈리아의 노르치아(Norcia)에서 태어난 베네딕도는 어린 나이에 학업을 위해 로마로 유학을 떠나지만 세속에서 누릴 수 있는 공부, 부모, 유산과 모든 안위를 뒤로 한 채 하느님을 찾는 여정에 들어선다.

 

수비아꼬의 산 사이에 자리 잡은 아니에네(Aniene) 계곡을 찾아가던 길에서 그는 로마노(Romanus)라는 수도승을 만난다. 베네딕도는 공동체나 은수자 속에 머물기보다 철저히 홀로 하느님을 만나기를 원했다. 로마노는 베네딕도가 머무를 수 있는 동굴로 그를 인도했고 베네딕도는 3년간 이 동굴에서 기도와 관상에 전념하는 철저한 은수자의 삶을 산다. 이 동굴은 오늘날까지 “Sacro Speco” 즉 ‘거룩한 동굴’로 알려져 있는데, 가파른 절벽 아래에 위치한 이 동굴을 따라 베네딕도 수도원이 지어져 있다.

 

로마노는 자기 수도원에서 자신의 몫으로 나온 빵을 남겨서 정기적으로 베네딕도에게 가져다 주곤 했는데, 언제나 산 위에서 줄 끝에 바구니를 달아 빵과 물을 절벽 아래로 내려 보냈다. 로마노가 빵을 내려보낸 그 산꼭대기에 지어진 작은 수도원(산 비아지오 San Biagio)에 살레시오 수녀회가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다양한 국적의 7명의 수녀들은 세상 안에서 얻지 못하는 평화를 찾아 수비아꼬를 찾아 오거나, 베네딕도 성인의 생애를 따라 순례하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고 쉴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제공한다.(성인의 탄생지인 노르치아에서부터 수비아꼬를 거쳐 그가 대수도원을 지은 몬테카시노까지 17개 마을에 걸쳐 도보순례길이 마련되어 있다)

 

대영성가이자 작가인 마리아 피아(Maria Pia 이탈리아) 수녀는 94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맑은 영혼으로 대자연의 신비를 관상하며 여전히 글을 쓰고, 그녀를 만나 위안을 얻기 위해 산을 오르는 이들의 영혼을 치유한다. 안나(Anna 벨기에) 수녀는 고요한 공방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을 담은 이콘화를 제작한다. 페루와 콩고, 이탈리아 출신의 수녀들이 자연이 마련해 주는 과실들을 소중히 가꾸며 순례자들과 기도를 갈망하는 이들의 영혼을 동반한다. 침묵 속에서 거룩한 일상을 살아가는 건 사람만이 아니다. 산 비아지오의 ‘거룩한 개’ 지비(Gibi)는 기도 시간이면 어김없이 성당에 와 당당히 제자리를 잡는다. 뿐만 아니라 성가가 시작되면 어김없이 노래를 따라 부른다. 그 소리가 어찌나 우렁찬지!

 

베네딕도 수도원에서 오솔길을 걸어 내려오면 아름다운 또 하나의 산타 스콜라스티카 수도원에 이른다. 스콜라스티카 성인은 베네딕도의 쌍둥이 여동생이다. 오빠와 같은 영적 여정에 들어서서 함께 수도자가 되고 성인이 되었다.

 

산타 스콜라스티카 수도원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베네딕도회 수도원답게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소중한 유물과 신앙의 흔적들로 가득하다.

특히 르네상스 회랑과 독특한 고딕양식의 회랑,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도서관 중 하나로 손꼽히는 도서관과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로마네스크 양식의 아름다운 종탑(9세기~11세기 건축) 등을 볼 수 있다. 러시아의 에르미타쥬 박물관을 지은 자코모(Giacomo Quarenghi)가 설계한 신고전주의 성당은 현대 성당 건축의 시초가 되었으며, 네로의 별장에서 옮겨온 거대한 대리석 기둥들이 성전을 받치고 있다.

 

수비아꼬의 수도원에서는 하느님을 관상했던 성인의 삶을 따르는 제자들이 지금도 고운 소리로 찬미와 감사와 탄원의 기도를 바쳐 올린다.

수도승들의 오래고도 간절한 기도가 배어서일까.

수도원을 가득 메운 프레스코 벽화들은 수백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생생하고 신비로운 빛깔로 신앙과 진리를 증언하고, 수도원의 맑은 종소리를 따라 소탈한 사람들이 평화로운 일상을 이어가는 곳 수비아꼬.

 

과연 산과 강에서 부는 평온한 바람과 맑은 기운이 성인을 만든 것일까,

아니면, 성인의 숭고한 삶으로 인해 그 거룩함이 지금까지도 이 땅에 머무는 것일까?

 글 사진 박현주(세실리아) 살레시오수녀회 로마 본부 거주

 

'기록 > 가져온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앤절라 더크워스의 "그릿(GRIT)"  (0) 2016.11.13
[만물상] '앵그리 화이트'  (0) 2016.11.11
평가  (0) 2016.10.10
어렵고 두렵고 고독한 길. 철저히 홀로 극한 수행  (0) 2016.09.16
윤희영의 news english  (0) 2016.09.01

 

 

 

새벽에 6시 춘천오는 버스에 완주의 기쁨까지도 함께 동반. 도착했다 중간 중간 가을비까지 온 몸의 땀을 식혀 주었다

올해는 단풍이 조금 늦게오는듯하다

하늘을 가리는 구름과 가을비까지 또 다른 호수속에 빠진 정취는 매력이었다

밀리는 버스안에서 음악과 차장밖의 가을비. 간혹보이는 단풍구경까지 오늘. 또 다른 소풍길이라 참 넉넉한 시간이었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경궁  (0) 2016.11.15
계룡산 다녀오다  (0) 2016.10.31
선자령  (0) 2016.10.04
선자령. 대관령  (0) 2016.10.04
월출사.   (0) 2016.10.04

 

성실함의 잣대로 스스로를 평가하라

그리고 관대함의 잣대로 남들을 평가하라.

 

-존 미첼 메이슨

 

 

 

 

 

동생과 함께해서 또 다른 의미로 닥아왔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룡산 다녀오다  (0) 2016.10.31
가을의 전설. 춘천 마라톤  (0) 2016.10.23
선자령. 대관령  (0) 2016.10.04
월출사.   (0) 2016.10.04
2016년 7월 강원도 여행  (0) 2016.09.30

 

 

 

 

 

한번씩 뿌려 주든 비까지도 한 몫 했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의 전설. 춘천 마라톤  (0) 2016.10.23
선자령  (0) 2016.10.04
월출사.   (0) 2016.10.04
2016년 7월 강원도 여행  (0) 2016.09.30
태백산을 동생과 함께  (0) 2016.09.12

 

 

 

 

 

충분했다

추억으로 땜빵으로 자리하기에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자령  (0) 2016.10.04
선자령. 대관령  (0) 2016.10.04
2016년 7월 강원도 여행  (0) 2016.09.30
태백산을 동생과 함께  (0) 2016.09.12
지구는 다시 살 만한 곳이 되었다  (0) 2016.09.10

 

 

 

 

정암사새벽

 

 

 

 

 

 

 

 

 

 

 

태백산

 

 

 

 

 

 

태백산 정산의아침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자령. 대관령  (0) 2016.10.04
월출사.   (0) 2016.10.04
태백산을 동생과 함께  (0) 2016.09.12
지구는 다시 살 만한 곳이 되었다  (0) 2016.09.10
흑백 두개만 존재하는 듯 날씨  (0) 2016.08.27

 

 

24일 미국 워싱턴 국립흑인역사문화박물관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스마트폰으로 부시 전 대통령 부부와 흑인 참석자들의 사진을 찍어주고 있다. [사진 부시 인스타그램]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수도 워싱턴에서 열린 국립흑인역사문화박물관 개관식에서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사진사가 됐다.

 

이날 개관식에 참석했던 부시 전 대통령은 한 흑인 가족과 스마트폰으로 셀카를 찍다가 여의치 않자 앞에 서 있던 오바마 대통령의 등을 툭 치면서 스마트폰을 건넸다.

 

참석자들과 악수를 하고 있던 오바마 대통령은 뒤로 돌아선 뒤 흔쾌히 스마트폰을 받아 들곤 부시 전 대통령과 흑인 가족들이 함께하는 사진을 찍어줬다.

 

현직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의 사진을 찍어주는 예상치 못했던 장면이 담긴 CNN 동영상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순식간에 퍼졌다.

 

허핑턴포스트는 이 상황을 글로 옮기며 “놀랍다. 정말 좋다”고 보도했다.

 

시사주간지 타임은 “대통령들도 우리와 똑같다”고 평했다.

'기록 > 일기-3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틴어 수업  (0) 2018.11.05
지금  (0) 2018.03.07
수선화에게/ 정호승  (0) 2016.08.22
흔들리며 피는 꽃*. 도종환시인  (0) 2016.08.20
사마천(사기)  (0) 2016.08.18

 

600년 전 눈을 뜬 채 시해등선한 티베트불교 겔룩파의 한 스님의 등신불. 청전 스님 제공

 

깊은 산속 천연 동굴도 있지만

대부분 쪽방 같은 허름한 거처 모인

집단 수행처 7곳

 

새벽 3시 반에 일어나 참선·예불

공양은 하루 아침 1끼

1시간 숲속 산책하며 명상

 

누구의 간섭 없이 수행 “한없이 행복”

주변 오색 깃발엔 불경과 소원 적어

 

“그저 떠가는 흰 구름, 날아가는 새

흐르는 물소리와 스치는 바람소리뿐”

인도 다람살라의 허술한 쪽방 같은 독립 거처에서 수행 중인 스님.

 

인도 다람살라 토굴 수행 스님들

수행의 길은 어렵다. 자신과의 싸움이기에 더 어렵다. 처절한 고독을 견뎌야 한다. 이전의 나를 부정하고, 새로운 나를 찾아야 한다.

 

그러기에 두렵다. 어렵고, 두렵고, 고독한 길이기에 불교에서는 수행의 방편으로 육체적 고행을 선택했다. 육신을 괴롭히는 것이다.

 

숨이 끊어지기 직전까지 몸을 혹사한다. 욕망의 화신인 육신이 요구하는 욕구를 견디고 제거했다. 수행자들은 그런 고행의 결말을 기대했다. 그것은 맑고 온전한 정신을 회복하고, 온갖 경계를 극복할 내공을 갖추는 것이었다.

부처는 7년간 보리수나무 아래서 하루 쌀 한 톨, 깨 한 알씩 먹으며 피골이 상접하는 극한의 고행을 보여줬다. 묵언, 장좌불와(눕지 않고 수행), 동구불출(수행하는 선방이나 토굴 밖으로 나가지 않음)의 수행 전통이 스님들을 고통으로 유혹한다.

 

티베트 불교의 최고 지도자 달라이 라마(81)는 지금도 하루 4시간의 자기 수행을 멈추지 않는다.

새벽 2시에 깨서 자신의 침대에서 참선을 한다. 최근 공개된 달라이 라마의 참선 모습을 보면 눈을 뜨고 선정 상태에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티베트 승려들은 참선하며 눈을 감지 않는다. 600년 전에 선정 상태에서 시해등선한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큰스님도 숨이 끊어지는 상태에서도 눈이 감기지 않음을 보여준다.

 

달라이 라마 최소 1천일 동굴수행

이달 초 찾아간 인도 다람살라의 수행처인 토굴은 지금도 많은 스님들이 육체적 고행을 통해 극한의 수행을 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토굴이라고 부르지만 대부분 동굴을 파서 만든 수행처가 아닌 허술한 독립 거처다. 한 사람 누울 침상에 경전이 놓여 있는 작은 책상, 간신히 서 있을 공간, 그리고 식사를 해결할 좁은 부엌이 전부다. 흙벽에 지붕은 양철이나 슬레이트로 비를 막을 정도다. 다람살라 주변엔 이런 집단 수행처가 7곳이 있다.

 

한겨울의 추위도 견뎌야 한다. 수행처 사용은 무료라고 한다. ‘티베트 어린이 마을’이라는 재단에서 운영을 한다. 빈 수행처에 들어가 수행하면 된다.

 

한국인 승려 1명을 포함해 모두 36명의 승려가, 방문했던 집단 수행처에서 수행하고 있었다. 물론 깊은 산속에는 홀로, 말 그대로 토굴에서 수행하는 스님들도 있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높은 산속에 천연적으로 만들어진 동굴을 수행 공간으로 삼아 정진하는 전통이 전해온다.

 

달라이 라마는 최소한 1000일은 동굴 수행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1000일인 이유는 인간의 몸과 마음은 최소한 1000일의 집중 수행에서 업과 번뇌의 틀이 깨지며, 비로소 깊은 수행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바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나왕 순듀(50)는 10살에 출가했다. 1959년 달라이 라마가 히말라야 설산을 넘어 티베트에서 다람살라로 망명할 때 그의 아버지도 따라서 망명했다.

 

다람살라에서 태어나 대학을 졸업한 그는 가끔 외국에 가서 영어로 불교를 강의해서 필요한 생활비를 충당하곤 한다고 한다. 이 토굴엔 1년 전에 왔다. 그의 하루 일과는 이렇다. 새벽 3시 반에 기상해서 참선과 예불을 한다. 혼자 하루 6번의 예불을 한다.

 

아침은 스스로 간단히 만들어 먹는다. 오후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 하루 1시간 정도 숲 속을 산책하며 명상에 잠긴다. 혼자 불경을 읽는다. 누구의 간섭도 없다. 집단 예불도 없다. 가끔 속세에 있는 동생을 찾아가기도 한다.

 

이마 부딪치는 ‘최고의 축복’ 선물

“행복하냐?”고 물으니 “한없이 행복하다”고 말한다. “뭐가 그리 행복하냐?”고 하니 “피곤하면 잘 수 있다”고 말하며 웃는다. 자유롭다는 뜻일 게다. 그리고 말을 잇는다. “누구의 간섭 없이 수행의 길을 갈 수 있어 좋다.”

아마도 불교의 두타행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는 기쁨일 것이다. 인간의 모든 집착과 번뇌를 버리는 수행법이다. 속세를 등지고 깊은 산속에 살고, 하루 한 끼만 먹고, 오후엔 어떤 것도 먹지 않고, 헌 옷을 기워입고, 무덤 곁에서 자고, 드러눕지 않는 등의 힘든 수행이다.

 

토굴 주변엔 오색 깃발들이 히말라야 설산에서 오는 바람을 타고 휘날린다. ‘룽타’라고 불리는 황색, 백색, 홍색, 청색, 녹색의 다섯 가지 깃발에는 불교 경전이 새겨져 있고 깃발의 여백에는 개인의 소원을 적어 놓기도 한다. 룽타가 바람을 타고 하늘에 닿아 부처님의 말씀과 함께 개인의 소원을 이루게 해달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롭상 왕뒤(82) 스님은 산에서 내려와 다람살라의 중심부 조그만 공간에서 수행한다. 마치 판자촌의 한 쪽방 같은 공간이다. 벽에는 달라이 라마의 사진이 걸려 있다.

그는 중국 인민군에 붙잡혀 16년간 모진 옥고를 치르고 나와, 뒤늦게 달람살라로 망명했다. 하지만 그 스님은 자신을 고문한 중국 군인을 욕하기보다는 그에게 분노를 느끼는 자신이 아직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고 부끄러워했다는 것이다. 그런 스님의 용서하는 마음에 감명한 중국 군인들은 육식을 하지 않는 스님을 위해 채식으로 된 식사를 특별히 만들어 제공했다고 한다.

 

다람살라에서 30년째 수행 중인 청전 스님의 도움으로 만난 롭상 왕뒤 스님은 가까이 오라고 하여 자신의 이마를 나의 이마에 부딪친다. 이를 본 청전 스님이 말한다. “이마를 부딪치는 것은 최고의 축복입니다. 업장을 없애고, 몸의 아픔을 사라지게 할 것입니다.” 정말 그래서일까? 스님과 이마를 부딪치고 난 뒤 한나절 동안 온몸이 후끈했다. 기분 좋은 따뜻함이 지속된 느낌이다.

“공과 자비 통해 통찰 얻어”

토굴 수행에 대해 청전 스님은 이렇게 이야기한다. “토굴 수행은 자기 자신의 절체절명의 상황에 따른 결정이다. 수행자로서 일생에 경험해보고 싶은 필사의 수행 방법이기도 하다.

 

철저히 자기 혼자뿐이다. 어느 누구도 함께하는 사람이 없다. 그저 떠가는 흰 구름, 날아가는 새, 흐르는 물소리와 스치는 바람 소리, 그리고 가끔 호기심을 품고 곁을 지나가는 산짐승뿐이다.”

과연 그런 수행을 하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까? 달라이 라마는 2002년 도올 김용옥 교수와 대화하며 깨달음을 이렇게 표현했다.

“나의 정신과 생각은 항상 맑고 깨끗합니다. 자라면서 어느 순간엔가 공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갑자기 세계가 넓어지더군요. 뭔가 이 우주와 인생에 대해 조금 알 듯했습니다. 그러면서 시야가 넓어지고 공이라는 진리는 내가 살아가는 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리고 사물 전체를 보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어느 날 자비를 깨달았습니다. 깨달음이 무엇인가를 물으신다면 이 공과 자비를 통해 무엇인가 조금 이 우주와 인생에 대해 통찰을 얻었다는 것, 그것입니다.”

 

 

 

 

 

 

심야 기차을 타고 청량리 출발 태백역 새벽 2시50분하차 태백역에서 4시30분까지 비몽사몽하다가 택시타고 태백산입구까지 쭉 새벽공기의 냄새 좋았다 물론 동생과 함께였기때문일거다

유일사에서 출발. 천제단까지. 구름속의 전망은 잘 왔구나 ㅋㅋㅋ

하산땐 욕심을 부려 백단사쪽 선택. 버거웠다. 신당ㄹ이 많았고 상 하 쪽 코스 덕분에 볼거리는 많았다

태백역에서 민둥산쪽 기차탔다

한계에 도전한다와 무모하다는 모호한 관계속에서 겨우 입구에서 다음을 기약 민둥산의 갈대는 아직 모습을 볼 수없다는 거창한 변명을 하면서 민둥산역으로.

시간을 기다리면 간이역 정자에 몸을 뉘였다

잠시 짬이 백미다

갑자기 소낙이다

역시 여기까지다 하면서 캔 맥주에 스트로고를 꽂고 쭉

다시제자리로 돌아왔다

동생은 심야에 부산도착한 문자가 쑥 들어왔고 내일은 아주 늦게 기상하리라 생각했지만 역시 잠깬시간은 새벽이다

사람은 역시 습관대로 될 뿐이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출사.   (0) 2016.10.04
2016년 7월 강원도 여행  (0) 2016.09.30
지구는 다시 살 만한 곳이 되었다  (0) 2016.09.10
흑백 두개만 존재하는 듯 날씨  (0) 2016.08.27
여름. 후  (0) 2016.08.15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그 날이 되었다

겨우 온도계 눈금 몇개만이 내려갔는데 밤바람은 진정 감동이다

 

나약하고 간사한 자신에게 "겸손과 감사로 덕담을 나누자. 인간의 삶은 외롭고 가련하며 불결하고 잔인하며 짧다" 홉스라는 철학자가 한 말이다

이보다 더 따뜻한 위로가 없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7월 강원도 여행  (0) 2016.09.30
태백산을 동생과 함께  (0) 2016.09.12
흑백 두개만 존재하는 듯 날씨  (0) 2016.08.27
여름. 후  (0) 2016.08.15
국립중앙박물관에서  (0) 2016.07.07

 

에디슨의 기록을 깬 F 학점 학생 가장 많은 발명을 한 사람(the most prolific inventor)은 누구일까. 거의 예외 없이(with very few exceptions) 에디슨을 꼽을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7월, 에디슨이 82년간 지켜온 특허기록(patent record)이 깨졌다.

 

미국 인텔렉추얼벤처스의 수석 발명가 로웰 우드(75)가 아성을 무너뜨렸다(destroy the stronghold). 1933년 에디슨이 마지막으로 기록한 1084건보다 하나 더 많은 1085번째 특허를 따냈다. 현재 특허청 심사를 기다리는 것만 3000건이 넘어 향후 오랜 기간(for many years to come) 세계 최고 발명가로 남을 전망이다.

 

 

그의 발명품은 뇌진탕 방지 헬멧(anticoncussion helmet)부터 자동차 충돌 방지 자동화 시스템(automated anticollision system for cars)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특히 배설물을 무해 물질로 바꾸는(transform human feces into safe material) 화장실, 전염병 예방 백신 저장 용기(thermos for preserving vaccin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등 아프리카의 지구상 가장 불운한 사람들을 돕는(help the least fortunate people on earth) 발명품이 많다.

 

우드는 천체물리학자(astrophysicist)이자, 고생물학자(paleontologist), 컴퓨터 과학자, 화학자, 수학자다. UCLA에서 화학과 수학 학사 학위를 받은(get undergraduate degrees in chemistry and math) 뒤 천체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earn a doctorate). 1980년대엔 소련의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감지·공중 요격 한다는(detect and intercept Soviet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in midair) 전략방어구상(Strategic Defense Initiative), 이른바 '스타워즈'의 우주 레이저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소련 몰락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help bring down the Soviet Union).

 

그는 천재가 아니다. 걸핏하면 F 학점을 받는 학생이었다. 어느 과목이든 첫 시험에선 F 또는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각고의 노력으로 반복 학습을 거듭하면서 차츰차츰 성적을 높여나갔다(gradually improve his marks through intense effort and repeated studying). 그 결과, 16세 나이로 UCLA에 진학했고, 이후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두루 섭렵해(read through books covering all sorts of fields) 박학다식의 전형(the paragon of a polymath)이 됐다. 그는 그 비결로 끊임없는 다독(多讀·unceasing extensive reading)을 든다. 지금도 학술지 30여종을 구독한다.

 

에디슨이 "천재는 1%의 영감(inspiration) 99%의 노력(perspiration)으로 이뤄진다"고 했다면, 우드는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의 별명(the nickname for those who put in the effort)"임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가을 하늘인 듯하다

 

어제와 확 달라진 온도 차이

서서히도 없다

모아님 도

흑아님 백

차차로. 서서히. 오늘보다 내일은 1도아님 2도씩이라도. 아니면 바람이 좀 달라졌다는 식도 이제는 통하지 않나부다

세상따라 계절도 변하나부다

무서울 정도로 확연한 변화에 당황스럽다

새벽 운동하기엔 반소매 옷이 당황스러운 그쯤에 있다

이 또한 적응하게 될것이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백산을 동생과 함께  (0) 2016.09.12
지구는 다시 살 만한 곳이 되었다  (0) 2016.09.10
여름. 후  (0) 2016.08.15
국립중앙박물관에서  (0) 2016.07.07
2016. 06. 29 예술의 전당  (0) 2016.06.29

 



 

 

수선화에게

울지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오면 눈길을 걷고

비가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갈대숲에서 가슴검은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고

네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다

 

산 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 번씩 마을로 내려온다

종소리도 외로워서 울려퍼진다

- 정 호 승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었나니

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웠나니

흔들리지 않고 가는 사랑이 어디 있으랴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빛나는 꽃들도

다 젖으며 젖으며 피었나니

바람과 비에 젖으며 꽃잎 따뜻하게 피웠나니

젖지 않고 가는 삶이 어디 있으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