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담담하게 받아들였다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코르나 바이러스를. 그러나 각 국가마다 백신으로 인한 대처 방안이 달라졌다. 국력에 버금가는 백신 소유로 깨어나오는 나라와 그저 오늘 내일 하고 있다 6월의 북한산입구에 있는 보리사 암자다. 이른 아침탓에 안개속에 자리한 보리사가 눈에 들어왔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이다  (0) 2021.06.14
그자리에 선 나  (0) 2021.06.13
다시 겨울의 길목에서  (0) 2020.11.29
what do you do, sir?  (0) 2020.11.21
혼돈의 시대. (굿원)  (0) 2020.11.15




노자’ 16장의 ‘치허극(致虛極) 수정독(守靜篤)’이란 문장을 특히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움을 지극하게 하고 고요함을 돈독하게 지키라’란 뜻으로, 줄여서 ‘치허수정’ ‘허정(텅 빈 고요함)’이라고도 쓴다. 그는 “만물은 활기차게 생겨났으나 결국은 허정으로 돌아가게 된다”며 “마음을 수양하는 것은 비우는 것, 내려놓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말했다.

눕지 않고 수행하는 장좌불와(長座不臥), 하루에 한 끼만 먹는 일종식(一種食), 1주일 이상 잠자지 않고 수행하는 용맹정진(勇猛精進) 등 치열한 수행법이 이들을 통해 세상에도 알려졌다.
혜암(慧菴·1920~2001) 스님은 평생 장좌불와와 일종식을 하면서 제자들에게 “공부하다 죽어라!”고 일갈한 전설의 주인공이다
지금도 혜암 스님이 평생 머물렀던 해인사 원당암 마당엔 ‘”공부하다 죽어라’는 글귀가 새겨진 죽비 모양 비석이 서있다

시작보다 지속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상황을 전환하는 정신적 습관이 있다.

‘지겨움’을 ‘편안함’으로, ‘반복’을 ‘익숙함’으로 바꿔 부르는 것이다.

가령 외국어를 잘하기 위한 핵심은 반복이다.

운동 역시 그렇다. 이런 반복은 고통과 지겨움을 유발한다. 하지만 임계점을 넘으며 그것은 익숙함으로 변환된다.

반복하는 것에는 리듬이 생긴다.

 

보상 없이도 작동한다면, 그것이 습관이다. 웬디 우드 박사는 저서 ‘해빗’에서 나이키의 ‘just do it(일단 시작해라)’이 정신력에 대한 과대평가이자 자본주의의 달콤한 거짓말이라고 말한다. 시작은 결코 반이 아니라는 말이다. 결심 자체를 큰 성공으로 여기게 만드는 자본주의의 힘을 우리가 간과해선 안 되는 이유다.

러시아의 문호(文豪·literary lion)이자 사상가인 레프 톨스토이의 글에 나오는 내용이라는데, 어느 작품 어디에 어떻게 나온 것인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3평(坪)’이라는 지극히 한국적 개념의 땅 넓이를 톨스토이 작품에서 어떻게 정확히 계산해냈는지도(work it out) 모르겠다.

“어느 농부가 평생토록 주인집에서 머슴살이를 했다(work as a farmhand all his life). 어느 날 주인이 독립시켜 주기로 하고 그를 불러 말했다 “내일 해가 뜨는 순간부터(as soon as the sun rises) 해가 질 때까지(until the sun sets) 네가 밟고 돌아오는 땅은 모두 너에게 주겠다.’

평생을 머슴으로 살아온 그는 새벽을 기다리느라(wait for dawn) 한숨도 자지 못했다(do not sleep a wink). 날이 밝자마자 달리기 시작했다(start to run). 잠시도 쉬지 않고 뛰고 또 뛰었다 . 한 뙈기 땅이라도 더 차지하기 위해(in order to take possession of even one more strip of land) 끼니도 걸러가며 미친 듯이 뛰어다(run around like a chicken with its head cut off).

가슴에 맺힌 한을 풀기 위해(in a bid to resolve his deep sorrow) 그 보상을 받겠노라고 뛰고 또 뛰었다 . 뛰는 만큼 모두 자기 것이 되리라 생각했다 그러다가 해가 뉘엿뉘엿 넘어갈(be ready to sink) 무렵, 주인집 대문으로 뛰어들었다 기진맥진해(be utterly exhausted) 쓰러졌다 그리고 끝내 의식을 되찾지(regain his consciousness) 못한 채 심장마비로 죽고(die of a heart attack) 말았다
그가 마지막까지 얻어낸 땅은 고작 ‘3평’이었다 자신이 묻히게(be buried) 된 무덤의 땅 한 쪼가리가 평생 머슴살이를 하며 뛰고 또 뛰어 자기 것으로 만든 이 세상 땅의 전부였다


영화 '머니볼'(2011)
인생은 누구도 몰라... “그냥 쇼를 즐겨요.”

영화 ‘머니볼’의 결말이 잘 이해가 되시는지. 통계학적 방법론에 기반한 구단 운영으로 미국 프로야구계에 일대 혁신을 일으킨 주인공 빌리 빈(브래드 피트)은 왜 보스턴 레드삭스의 단장직 제안을 거절하는 걸까. 엄청난 연봉을 받을 수 있는데. 그가 구단을 운영하는 내내 강조했던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선택’을 왜 정작 그 자신은 내리지 않는가. 나 말고도 같은 궁금증을 느끼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해외 인터넷을 찾아보면 같은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많다. 내 생각에는 감독과 각본도 이 모순을 알면서 얼버무리는 것 같다. 세상에는 돈 말고도 추구해야 할 뭔가가 있어, 하지만 그 뭔가가 뭔지는 우리도 모르겠어, 하고. 그렇게 빈이 보스턴 레드삭스 구단주와 헤어져 돌아가는 길. 차에서는 딸이 아버지만 들으라며 녹음해준 노래가 흐른다. 호주의 뮤지션 렌카의 곡 ‘더 쇼’다. 인생은 미로, 사랑은 수수께끼,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고 혼자서는 할 수 없네…. 노래의 결론은? “그냥 쇼를 즐겨요(And just enjoy the show).” 뭐라 해석하기 어려운 복잡한 표정을 짓는 브래드 피트의 얼굴을 카메라가 클로즈업한다. 무엇에 가치를 두고 살아야 하는가. 그 가치를 위해 다른 건 얼마나 포기해야 하는가. 그리고 내 머릿속에는 아마 그 답을 영원히 알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노래가 답한다. 그냥 인생이라는 이 쇼를 즐겨요

 

 

 

 

 

 

 

영화 '레이더스'(1982)
당신은 왜 뺏긴 것만 생각하나... “난 내가 가진 것을 알지.”

인디아나 존스 박사(해리슨 포드)는 두 시간 동안 나치와 싸우며 온갖 고생을 다한 끝에 성궤를 찾는다. 모세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십계명판을 담았다고 하는 그 물건 말이다. 그런데 그렇게 애써 구한 귀중한 고고학 유물을 미국 정부가 비밀 창고에 집어넣더니 존스 박사더러는 손을 떼라는 것 아닌가. 존스 박사는 정부 요원들과 회의를 마치고 건물을 빠져나오며 분통을 터뜨린다. “멍청한 관료 녀석들! 자기들이 거기 뭘 갖고 있는 건지 몰라.” 그런 그에게 연인 마리온(캐런 앨런)이 건네는 말. “음, 난 내가 여기서 뭘 갖고 있는지는 아는데(Well, I know what I’ve got here).” 그리고 술 한잔하러 가자고 한다. 마리온은 그 장면에서 그런 말을 할 만하다. 네팔에서 오랫동안 고생하다 겨우 미국에 돌아온 참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참 이상하다. 늘 곁에 있는 것들에 대해 감사할 줄 모른다. 자신이 여태 갖지 못한 것, 놓친 것에 대해서만 골똘히 생각한다. 중요한 걸 빼앗겼다고, 억울한 일을 당했다고 느낄 때, 이 대사를 읊으며 내가 여전히 지닌 것들을 살피려 애쓴다. 몸 건강하네! 기대 수명이 다할 때까지 시간도 한참 남아 있네! 좋은 술 한 잔 사 마실 여유도 있네! 내가 성궤처럼 유일무이한 물건을 놓친 것도 아니잖아? 소중한 내 마음을 울화로 채우지 말자고 다짐한다.

 

 

 

 


영화 '재키 브라운'(1997)
더 늦기 전에 성숙하게, 의연한 사람이 되고 싶다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1997년 영화 ‘재키 브라운’의 마지막 장면이다. 주인공 재키 브라운(팜 그리어)은 자신을 쫓는 뒷골목 악당을 제거하고 형사를 속이는 데 마침내 성공한다. 그 일을 보석 보증인인 맥스 체리(로버트 포스터)가 도왔다. 이제 두 중년 남녀는 이별을 앞둔 상태다. 상대에게 호감은 있지만 미래를 함께하려니 피차 부담스럽다. 사기극에 끌어들인 일을 놓고 자신을 오해할까 봐 신경 쓰인 재키가 맥스에게 말한다. “난 당신을 이용한 적 없고, 당신한테 거짓말한 적도 없어요. 우리는 파트너였어요.” 그러자 쓸쓸한 미소를 지으며 답변하는 맥스. “난 56살이에요. 내가 한 일을 두고 남 탓할 순 없어요(I’m 56 years old. I can’t blame anybody for anything I do).” 다른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니, 요즘 들어본 지 오래된 말이다. 이 영화를 처음 봤을 때 나는 이 대목에서 잠시 숨을 멈췄다. 그런 멋있는 말을 하는 50대 사내에게 반해 버렸다. 나도 늦기 전에 저렇게 의연한 사람이 되고 싶다, 성숙해지고 싶다고 생각했다. 나는 아직 남 탓을 많이 하지만, ‘언젠가는’이라는 희망은 품고 있다. 그러고 보니 56살까지 꼭 10년 남았다.

 

 

 

 


영화 '대부3'(1990)의 알 파치노와 앤디 가르시아
“절대로 적을 미워하지 마라. 판단력이 흐려지니까.”

영화 ‘대부’ 시리즈에는 명대사가 잔뜩 나온다. 거절하지 못할 제안을 하지. 친구는 가까이, 적은 더 가까이 둬라. 우정과 돈은 물과 기름이다…. 내가 최고로 꼽는 대사는 3편에 있다. 대부 마이클 콜레오네가 조카 빈센트를 데리고 다니며 후계자 교육을 시킬 때다. 젊고 과격한 빈센트는 경쟁 조직의 두목에 대해 잔뜩 화가 나 있다. 빈센트가 라이벌에게 잔인하게 복수할 방법을 떠들어대려 하자 마이클은 “안 돼!” 하며 호통을 친다. 그리고 이유를 설명해준다. “절대로 적을 미워하지 마라. 판단력이 흐려져(Never hate your enemies. It affects your judgement).” 말 그대로다. 내게 상처를 준 사람, 해코지를 한 사람들을 용서하고 사랑할 엄두까지는 안 난다. 하지만 그들을 미워하지 않는 게 현명하다. 나 자신을 위해서다. 누군가를 미워하면 내가 해야 할 일들의 우선순위를 헷갈리게 된다. 그야말로 간단하고 합리적인 결론인데, 실천하기는 참 어렵다. 아마 인간 본성이 소규모 부족 사회에 맞게 진화했기 때문인 것 같다. 작은 사회에서는 ‘당한 만큼 갚아준다’는 평판이 생겨야 이후 인간관계나 거래에서 손해 보지 않는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성공하는 데 그런 평판은 필요 없다.

 

 

 

영화 '귀여운 여인'(1990)
소셜미디어는 毒... “남들이 깎아내리면 당신도 믿게 되죠.”

’귀여운 여인'은 개봉 직후부터 지금까지 30년간 숱한 비판을 받았다. 뭐, 다 일리 있는 비판들이었다. 그럼에도 나는 이 영화가 단순한 신데렐라 스토리 이상이며, 지나치게 과소평가되고 있다고도 믿는다. 이 작품은 자신을 혐오하는 두 사람이 만나 상대를 치유하고 치유받으며, 마침내 서로를 구원하는 과정을 상세히 그린다. 거리의 여인 비비안 워드(줄리아 로버츠)는 기업 사냥꾼 에드워드 루이스(리처드 기어)와 지내는 동안 서서히 자존감을 되찾는다. 에드워드가 자신을 성매매 여성으로 대하자 돈을 포기하고 헤어지려 들기도 한다. 그렇게 다투고 화해한 밤, 비비안은 과거를 고백한다. 자신이 어떻게 해서 매춘을 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해서 자기혐오에 빠지게 됐는지.” 사람들이 당신을 오래 깎아내리면, 어느 순간 당신도 그걸 믿게 되죠(People put you down enough, you start to believe it).” 그게 인간의 심리이니, 그런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나를 깎아내리는 말을 흘려들을 줄 알아야 한다. 아니, 처음부터 그런 소리를 들을 기회 자체를 줄이는 건 어떨까. 나는 얼마 전부터 소셜 미디어에 거의 접속하지 않는다. 그게 점점 더 효율적으로 사람을 깎아내리고 상처를 주는 도구가 되는 것 같아서다.

 

 

 

 

 

 

 

 

 

 

 

2년째 전병염으로 각자 격리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시간의 그저 지나가고 있다

 

삶은 대체로 무의미하다.

존 던의 말처럼 죽음은 그저 “흙더미 한 점이 바닷물에 씻겨 나가는” 것과 같을 뿐이다.

 

 

 

 

 

나는 변해서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

어제보다는 오늘 조금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다.

 

주철환의 책 ‘오블라디 오블라다’에는 “세상은 불공평해도 세월은 공평하다”라는 문장이 나온다.

인생은 흘러간다.

누구에게나 일용할 하루 24시간이 공평히 주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공평하게 주어진 그 시간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결과는 평등하지 않다.

공평과 평등은 언뜻 비슷해 보이나, 다른 개념인 것이다.

인정하든 인정하지 않든, 결국 지금의 나는 내가 평생 해온 모든 선택의 합이다.

 

 


삶은 경험을 통해 현명해지기보다
경험함으로써
‘자제하지않아도무탈하다’는 걸
알아가는과정인 것 같다고

내가 운동하게 된 건 건강해지기 위함이 아니고 덜 아프기위해서다

살아보니 돈이란 원하는 물건을 사는 데 쓸 때보다 불행을 예방하는데 쓰는 게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 역시 그렇다

만리 길 나서는 길
처자를 내맡기며
맘 놓고 갈 만한 사람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이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도
"저 맘이야" 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탔던 배 꺼지는 시간
구명대 서로 사양하며
"너만은 제발 살아다오" 할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불의의 사형장에서
"다 죽어도 너희 세상 빛을 위해
저만은 살려 두거라" 일려 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잊지 못할 이 세상을 놓고 떠나려 할 때
"저 하나 있으니" 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의 찬성보다도
"아니"하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인생에서 실패란 추락이 아니라 추락하고도 안 일어서는 것이다(Failure is not the falling down, but the staying down).

교육학 박사(EdD·Doctor of Education)인 미국 UCLA 매리언 울프 교수는 “읽기는 이해력과 통찰력에 필요한 독특한 일시 정지 버튼(unique pause button for comprehension and insight)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이에 비해 동영상을 보거나 테이프를 들을 때의 구어(口語·spoken language)는 대체적으로(by and large) 그런 사고 능력을 길러주지(promote thinking ability) 못하고 금방 스러져버린다.

읽기의 잔상(殘像·afterimage)은 최소한 5일간 지속된다(persist for five days at least). 이런 현상을 근육 기억(muscle memory)에 빗대 ‘그림자 활동(shadow activity)’이라고 부른다. 두뇌는 이런 읽기 행위에서 운동 효과를 얻어 인지·집행 양쪽 기능을 제어하는(control both cognitive and executive function) 뇌 부위에 혈류 공급을 증가시킨다고(increase the blood flowing to areas of the brain) 한다.


교육학 박사(EdD·Doctor of Education)인 미국 UCLA 매리언 울프 교수는 “읽기는 이해력과 통찰력에 필요한 독특한 일시 정지 버튼(unique pause button for comprehension and insight)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이에 비해 동영상을 보거나 테이프를 들을 때의 구어(口語·spoken language)는 대체적으로(by and large) 그런 사고 능력을 길러주지(promote thinking ability) 못하고 금방 스러져버린다.

읽기의 잔상(殘像·afterimage)은 최소한 5일간 지속된다(persist for five days at least). 이런 현상을 근육 기억(muscle memory)에 빗대 ‘그림자 활동(shadow activity)’이라고 부른다. 두뇌는 이런 읽기 행위에서 운동 효과를 얻어 인지·집행 양쪽 기능을 제어하는(control both cognitive and executive function) 뇌 부위에 혈류 공급을 증가시킨다고(increase the blood flowing to areas of the brain) 한다.

만추속으로 떠나본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자리에 선 나  (0) 2021.06.13
햇수를 넘기고 또 몇달이 지나고 있다  (0) 2021.06.05
what do you do, sir?  (0) 2020.11.21
혼돈의 시대. (굿원)  (0) 2020.11.15
동생과 한라산 백록담에서  (0) 2020.11.13


경제학자 케인스는 “왜 의견을 자주 바꾸느냐”는 지적에 “사실이 달라지면 생각을 바꾼다(When the facts change, I change my mind – What do you do, Sir?)”라고 반문했다. 우리는 어떤가?




. “전쟁이 없다면 위대한 장군을 얻을 수 없고. 중대한 사건이 없다면 위대한 정치가를 얻지 못한다”. 시대의 위기가 모든인의 위기가 아닐수 있다

'기록 > 일기-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겨울의 길목에서  (0) 2020.11.29
what do you do, sir?  (0) 2020.11.21
동생과 한라산 백록담에서  (0) 2020.11.13
새로운 세상의 살을 에는 바람속에서.’  (0) 2020.11.08
쇼펜하우어  (0) 2020.10.31

+ Recent posts